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이터 스트림 이란? 스트림이란 "흐름"을 의미한다. 데이터 스트림이란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한다.데이터가 흐른다라는 개념은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쪼개어 연속적으로 순차적으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는 의미이다.한꺼번에 데이터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트 단위로 쪼개어 순차적으로 이동한다는 점에 방점을 두자. 자, 파일이 있다.파일 스트림이란 것도 있다. 파일 스트림의 경우, 파일 읽기/쓰기의 경우 순차적으로 파일의 데이터가 바이트단위로 쪼개어 이동하는 것이다.파일을 읽을 경우, 메모리에 바이트 단위로 조금씩 올린다. 그리고 처리를 즉각 한다(일반적으로). 여기서 처리라 함은데이터를 읽어서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이 파일을 읽을 때, 데이터는 한 번에 메모리에 모두 로드되지 않고,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 더보기 firebase x flutter 더보기 futurebuilder 란? flutter x firebase 더보기 futurebuilder에 대하여1 더보기 i can't go back to where i used to be... 더보기 firebase에서 자료 받아오기 flutter 더보기 DNS(Domain Name Server)의 정체와 통신 방법 1. DNS의 정체와 종류 DNS는 도메인 네임 서버의 줄임말, 도메인 이름과 이에 해당하는 IP주소 저장해 놓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이다. 내 로컬 네트워크를 뛰어넘어 인터넷에 존재하는 DNS는 수없이 많다. 따라서, 내가 외부의 어떤 도메인의 IP를 주소를 문의할 때는 내 지역과 가장 가까운 DNS를 찾아가는 것이다. 2. DNS 찾기는 "효율성"이 모토이다. - 먼저 DNS 캐쉬가 있는지 찾은 후 도~~~저히 없다면 이젠 정말 외부 DNS에서 ip주소를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1) 웹브라우저는 리졸버(프로그램)를 호출한다. 2) 리졸버는 소켓의 gethostbyname() 이라는 함수를 호출해서 ip 주소를 요청하는 함수를 호출한다. 3) gethostbyname()은 운영체제 안의 프로토콜 스택에서 .. 더보기 웹브라우저 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 브라우저가 ip 주소 찾는 방법 우리가 거의 매일 쓰다시피하는 웹브라우저는 본질적으로 응용프로그램이다. 이 응용프로그램은 주소창에 일명, URL(www.google.com)을 입력하면, 1) URL에 해당하는 서버 IP 찾기 2) 그 서버를 찾아가서 HTML 데이터를 달라고 요청 3) 그 서버가 준 HTML 데이터 등을을 웹브라우저 화면에 보여주는(렌더링) 주기 1) URL에 해당하는 서버 찾아가기. URL에 해당하는 서버를 찾아가려면 서버의 IP 주소를 알아야 한다. 서버의 URL -- IP 매칭되는 데이터는 DNS 라는 서버에 저장되어있다. 따라서, DNS라는 서버에 해당 URL의 IP주소를 요청(Request)하고 응답(Response) 받으면 된다. 하지만, 같은 주소를 매번 DNS 서버에 물어보는 것은 비생산적이다. 따라서 내..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